램수면은 뇌가 매우 활동적이게 움직이며 꿈 꾸는 수면단계입니다.
램수면이 많아지면 잠꼬대를하고 꿈속에서 자극을 많이받아
깊은잠을 잘 못자기 때문에 뇌신경세포의 피로가 잘 풀리지 않습니다.
불안신경증,무력감 우울증같은 신경정신계 질환에 잘 걸리게되죠
우리는 어떻게 해야지 잠을 잘자고 불면증 극복을 할 수 있을까요?
불면증 극복하는법
많은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점차적으로
마음과 몸이 수면의 처음에서 삼단계를 거치도록 해야 하는데요
정기적인 수면일정과 건강한 수면습관을 유지하면 좋습니다.
1단계
수면으로 전환하여 약 5분간 지속되는 경우입니다.
눈은 눈꺼풀 아래에서 느리게 움직이며
근육활동은 느려지지만 소음이나 소리로 쉽게 깨어날 수 있죠
2단계
진정한 수면의 첫번째 단계이면 10~25분 동안 지속되고
눈 운동이 완전히 멈추고 심장 박동이 느려지고 체온이 떨어집니다.
3단계
깊은 수면이 시작되죠
이 단계에서는 뇌파가 매우 느려지고 혈액의 흐름이 뇌에서
근육으로 향하게 되어 신체에너지가 회복됩니다.
4단계
수면의 마지막 단계를 램수면 또는 꿈을 꾸게되죠
이것은 잠든 후 약 70~90분에 발생합니다
빠른 안구 운동, 얕은 호흡을 경험할 수 있으며
심장 박동과 혈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밤에는 숙면이 깊은 수면과 렘 수면 사이를 왔다 갔다하는
패턴을 보입니다. 각 주기는 약 90분 동안 지속되며
4~6회 반복되죠
평일에 예를들어 7시에 일어난다면 주말에 심한 차이가안나게
9~10시쯤에 일어나는게 좋습니다.
수면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7~9시간 사이에
수면을 취해야 합니다. 정기적인 수면시간이 갖춰지면 불면증도 나아지고
더 좋은 잠을 잘 수 있습니다.
잠자기 전 몇시간 전에는 tv를 보거나 핸드폰 사용을 안하는게 좋아요
화면에서 방출하는 빛이 뇌를 자극하고
멜라토닌(램 수면을 유도)의 생성을 억제합니다.
잠자기 전 카페인섭취는 안되는거 당연히 아시죠 ^^
알코올도 마찬가지입니다.
쉽게 잠에서 깨며 잠들기가 힘들어집니다
잠잘때는 커튼을 사용하여 창문의 빛을 차단하고
tv나 컴퓨터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빛이 방안에 비치지않도록
꺼주세요 그리고 창문 밖의 시끄러운 소리는 수면을 방해하니
창문은 꼭 닫고 자는게 좋습니다
불면증 극복하는법 실천하면 지금보다는 많이 나아질거에요 :)
'생활TIP > 건강을챙기자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눈운동 시력손상 막는법 (2) | 2018.06.06 |
---|---|
발냄새 없애는법 걱정하지마세요! (0) | 2018.05.03 |
레몬그라스 효능 감기예방하자 (2) | 2018.02.01 |
작두콩차 효능 천식에 좋아 (4) | 2018.01.12 |
파인애플 자르기 손쉽게 팍팍! (4) | 2018.01.09 |